이른 무더위에 여름 불청객 '모기'의 습격이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해마다 모기에 물려 사망하는 사람이 전 세계에서 100만 명에 달할 정도라는데요. <br /> <br />그런데 우리나라에서 모기가 출현하는 시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8일, 올해 말라리아 주의보가 처음 발령됐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해보다 일주일 빨랐습니다. <br /> <br />평년보다 높은 온도 탓에 말라리아 모기의 출몰 빈도가 늘자, 당국이 서둘러 주의보를 내린 겁니다. <br /> <br />3급 법정 감염병인 일본 뇌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작은빨간집모기도 비슷합니다. <br /> <br />해마다 작은빨간집모기가 처음으로 확인되면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가 발령되는데, 올해도 지난 3월 29일 전남과 제주에서 이 모기가 발견되면서 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모기 발견이 빨라지는 이유가 뭘까요? <br /> <br />기후변화가 영향을 미쳤단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온난화로 인한 폭염은 물론이고, 최근 잦은 비로 모기가 좋아하는 고온 다습한 서식 환경이 이전보다 더 잘 만들어지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올해 말라리아 위험지역 최고 기온이 평년보다 2도 정도 높아지면서 모기 활동도 빨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모기로 인한 감염병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거죠. <br /> <br />질병관리청은 기후변화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옮기는 곤충의 활동이 늘어나면서 감염병 발생이 커질 수 있다고 '경고'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 이집트숲모기와 흰줄숲모기 등을 매개로 하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 건수는 재작년 103건에서 지난해 206건으로 두 배 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뎅기열 환자는 해외에서 감염돼온 경우만 보고돼 있지만, 전문가들은 토착화 가능성도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말라리아 감염병 역시 지난해 감염 건수가 일 년 전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 기후변화 탓에 온도가 올라가면 모기와 곤충의 번식 속도도 더 빨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데요. <br /> <br />특히 6∼8월은 국내에서 말라리아 감염이 가장 많은 시기여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감염되면 오한과 발열 증상 등이 반복되고 열이 39도 이상으로 오르면서 심한 두통과 구토가 동반되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말라리아에 걸리면 치료제를 복용하면 되는데, 문제는 뎅기열입니다. <br /> <br />뎅기열은 지금까지 국내에 예방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유다원 (dawon081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62822402044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